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통사고4

교통사고 후유증 사망 1. 교통사고 후유증과 사망의 개요 가벼운 교통사고로 검사 상 특별한 외상이 없이 후유증이 우려되어 입원치료 하던 고령의 환자분이 갑작스럽게 사망한 케이스입니다. 보험사에서는 사인이 병사이며 패혈증 사망이기에 책임이 없다고 주장하게 됩니다. 2. 교통사고 치료 실제로 사고당시 가벼운 접촉사고로 눈에 띄는 외상이 있거나 하지는 않았습니다. 다만 환자분이 고령이시고 그로인해 지병이 있어 드시던 약이 있었는데 통증치료를 위해 추가적인 약물치료가 있었습니다. 입원한지 약 2주가 안될즈음 갑작스런 복통을 호소하게 되었고 토혈을 하는 지경에 이르게 됩니다. 이에 정형외과 병원의 특성 상 치료가 곤란하여 종합병원으로 전원을 하게 됩니다. 전원간 병원에서 급하게 내시경으로 위출혈 부위에 대한 지혈술을 하고 안정을 찾는.. 2023. 8. 4.
교통사고로 인한 후유증과 후유장해 1. 교통 사고의 영향 교통사고를 당하면 가벼운 타박상부터 심각한 외상까지 다양한 신체적 부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상에는 골절, 편타손상(채찍질), 뇌진탕, 내출혈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상의 정도에 따라 개인의 신체 건강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교통사고는 신체적 부상 외에도 정서적 고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생존자는 불안, 우울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및 기타 심리적 영향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서적 결과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것은 회복에 매우 중요합니다. 2. 후유증 진단의 중요성 교통 사고로 입은 부상 중 일부는 즉시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후유증으로 알려진 이러한 지연 증상은 사고 후 며칠, 몇 주 또는 몇 달 후에 .. 2023. 7. 5.
교통사고사실확인원-교사원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경찰서에 사고접수를 하게되면 경찰서에서는 사고조사를 합니다. 그리고 조사결과에 따라 가해자와 피해자를 구분하고 12대 중과실 사고여부를 판단하며 사고내용을 확정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교사원의 중요성은 무엇일까요? 위 사진을 보면 가해자 피해자 구분이 되며 사고발생 일시와 사고장소 사고경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별지에 사고현장 약도와 사고경위를 그림으로 표시합니다. 이렇게 경찰서에서 사고내용을 확정할 수 있는 사실이 있기에 이를 바탕으로 과실 정도를 산출할 수 있게 됩니다. 결국 과실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교통사고사실확인원을 발급받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과실이 중요한 이유는 과실에 따라 합의금이 산정되기 때문입니다. 내 총 손해액이 1억이라고 가정하면 과실 10%에.. 2023. 3. 17.
교통사고 합의금 금일 포스팅할 내용은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의 일실수입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사망하게 되면 피해자가 향후 근로 또는 사업으로 인한 소득이 있지만 사망으로 인해 소득상실이 있고 그에따른 손해가 발생하게 되죠. 이런경우 이 소득에 대해 산정하여 가해자측 자동차 보험사에 이를 청구해야 하지만 소득입증이 쉽지 않은 경우가 문제가 됩니다. 이런경우 우리나라 법원은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가 실제 합의과정에서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이와 관련해 대법원 판례가 있어 소개해 볼까 합니다. 【판시사항】 [1] 불법행위로 사망한 피해자의 일실수입 산정 기준 / 의과대학 등과 같이 전문직을 양성하는 대학에 재학 중인 피해자가 장차 전문직으로서 소득을 얻을 수 있는 상당한 개연성이 있는지 판단하는 기준 [2] 의과대학 본과 3학.. 2023. 3.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