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십자인대의 구성
십자인대란 무릎관절 안에서 십자 모양으로 교차하며 관절을 받쳐주는 두 인대를 말하며, 관절의 중심을 잡아주고 경골(정강이뼈)이 미끄러지지 않게 앞에서 잡아주는 전방 십자인대와 뒤에서 잡아주는 후방십자인대로 나뉘어집니다. 십자인대가 파열되어 수술을 한 경우 후유장해 평가가 가능합니다.
2. 십자인대 파열과 후유증
십자인대 부분 파열의 경우 관절 고정을 통한 보존적 치료를 하기도 하며 완전 파열되거나 파열 정도가 심한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며 이에따른 수술에는 봉합술 또는 재건술 등의 수술을 시행합니다. 십자인대 파열의 주요한 후유증은 관절의 동요도를 말하며 동요라함은 무릎 관절의 앞, 뒤로 흔들림을 말합니다. 현재는 수술이 발전에 후유증이 거의 없는 경우가 많으나 흔들림이 있다면 후유장해 평가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3. 재활치료
십자인대 파열로 인한 수술 후 재활치료는 CPM치료가 있으며 CPM치료는 기계를 통해 점차 관절 운동각도를 늘려 나가는 것이 있고 치료사를 통해 도수 치료등이 존재합니다. 재활치료는 결국 관절의 운동각도 회복을 목적으로 합니다. 실제로 십자인대 후유증 평가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관절의 동요도를 평가하는데 재활치료는 운동각도 회복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왜 운동각도 평가가 아닌 흔들림을 후유증 평가하는지에 대해 궁굼할 수 있습니다.
4. 후유장해 평가
십자인대 파열로 수술을 한 후에 관절의 굳음 증상이 발생하고 이는 십자인대가 경골을 강하게 당겨놓은 상태라 무릎 관절의 움직임의 제한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재활을 하는 경우 관절의 운동 제한이 모두 회복되기 때문에 움직임 제한을 평가할 수 없습니다. 그럼에도 움직임이 제한되었다고 하면 그것은 일시적 제한일뿐 후유증으로 볼 수 없다는게 임상적 견해라 합니다.
무릎관절의 운동 제한이 모두 회복된 후 흔들림이 발생하는 이유는 수술한 십자인대가 늘어났기 때문에 관절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이고 늘어난 십자인대는 최초의 상태로 돌아갈 수 없기 때문에 해당 흔들림을 후유증으로 평가하는 것입니다.
십자인대 파열 환자분과 말씀 나누다보면 운동제한을 평가한다고 재활을 게을리 하시는 분을 본적이 있는데 이는 평가가 안됩니다.
5. 손해사정사 선임
그렇기에 내 신체에 손상이 있는 경우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가. 어떤 평가를 해야 하는지?
나. 어떤 기준으로 해야하는지?
다. 평가 결과는 충분한지?
정확한 판단을 하셔야 합니다.
댓글